건물철거·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92다22602, 22619(반소)

선고일자:

199209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속에 의하여 점유권을 취득한 자가 피상속인의 점유를 떠나 자기만의 점유를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

판결요지

상속에 의하여 점유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상속인은 새로운 권원에 의하여 자기 고유의 점유를 개시하지 않는 한 피상속인의 점유를 떠나 자기만의 점유를 주장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93조, 제19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6.3.29. 선고 66다194 판결, 1969.2.25. 선고 68다2500 판결, 1972.6.27. 선고 72다535,536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반소피고)】 【피고, 피상고인(반소원고)】 【원심판결】 부산지방법원 1992.4.17. 선고 92나2186(본소), 2193(반소)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은 그 이유에서 피고의 망 부인 소외 1이 1943년 경 이 사건 토지 중 원심판결의 별지도면표시 (가)(나)(다)부분 지상에 건물을 신축하고 이를 점유하여 오다가 1967.2.3. 사망한 후 피고가 지금껏 이를 단독으로 점유하여 온 사실을 인정하고 나서 점유가 순차로 승계된 경우 취득시효완성을 주장하는 자는 자기의 점유만을 주장하거나 또는 자기의 점유와 전 점유자의 점유를 아울러 주장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고 전제한 다음 피고가 점유기산점으로 그 자신의 점유개시일을 선택한 이 사건에 있어 피고의 점유개시일인 1967.2.3.로 부터 20년이 경과한 1987.2.3. 위 토지부분에 대한 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고 판단하여 이에 관한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상속에 의하여 점유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상속인은 새로운 권원에 의하여 자기 고유의 점유를 개시하지 않는 한 피상속인의 점유를 떠나 자기만의 점유를 주장할 수 없다 할 것이므로(당원 1957.7.2. 선고 4291민상599 판결; 1966.3.29. 선고 66다194 판결; 1969.2.25. 선고 68다2500 판결; 1972.6.27. 선고 72다535,536 판결 등 참조) 피고가 새로운 권원에 의하여 자기 고유의 점유를 개시하였다는 주장이 없는 이 사건에 있어 위 토지부분에 대한 시효의 기산점은 위 소외 1이 점유를 개시한 1943년 경이라 할 것이고 따라서 그 완성시기는 그로부터 20년이 경과한 1963년 경이라 할 것인데 기록에 의하면 피고 등이 그 등기를 하지 않고 있는 사이에 원고가 1977.4.6.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함으로써 그 소유권을 취득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피고 등으로서는 그 취득시효완성을 원고에게 주장할 수 없다 할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1987.2.3. 위 토지부분에 대한 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고 판단하여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은 상속에 의하여 점유권을 승계한 경우의 부동산취득시효에 관한 점유의 기산점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하겠다. 이 점을 지적하는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상속받은 땅, 내 땅 맞죠? - 취득시효와 상속

땅을 오랫동안 점유하여 취득시효를 완성한 후, 다른 상속인으로부터 상속지분을 사들인 사람도 시효 이익을 주장할 수 있는가? (있다)

#취득시효#상속지분 양수#시효 이익#시효 완성

민사판례

상속받은 땅, 내 땅으로 만들려면? 취득시효,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조상으로부터 상속받은 땅을 20년 이상 점유했다고 해서 무조건 취득시효(오랫동안 점유하면 소유권을 취득하는 제도)가 완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조상이 해당 땅을 어떤 생각으로 점유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조상이 땅의 진짜 주인이라고 생각하고 점유한 것이 아니라면, 상속인도 마찬가지로 진짜 주인이 아니라는 생각으로 점유를 이어받은 것이 되기 때문에, 20년이 지나도 취득시효가 완성되지 않습니다.

#상속#취득시효#자주점유#타주점유

민사판례

증여받은 땅, 내 땅으로 만들려면? 취득시효, 언제부터 시작될까?

등기 없이 증여받은 땅이라도, 20년간 점유하면 시효취득(점유취득시효)이 인정될 수 있다. 단, 증여받은 시점부터 점유를 시작했다면 그때부터 시효가 계산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증여##등기#점유

민사판례

20년 넘게 살았다고 내 땅? 취득시효, 함부로 주장하면 안 돼요!

상속받은 땅을 20년 넘게 사용했다고 해서 바로 내 땅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상속받기 *이전* 부터의 점유 기간까지 포함해서 20년이 넘어야 하고, 그 사이에 다른 사람이 소유권을 가져갔다면 내 땅이 될 수 없습니다.

#취득시효#상속#점유#20년

민사판례

증여받은 땅, 상속, 그리고 20년 점유... 내 땅은 어디에?

증여받은 땅이라도 등기 전에 원래 주인이 사망하고, 상속인 중 한 명이 그 땅 전체를 증여받아 등기했더라도, 상속받은 지분에 대해서는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할 수 있다.

#점유취득시효#상속#증여#지분

상담사례

내 땅인데, 왜 내 땅이 아니라고 하지? 취득시효, 언제부터 시작될까?

이미 등기된 내 땅의 점유는 취득시효와 무관하며, 타인 명의로 소유권이 변동된 후부터의 점유가 취득시효의 시작점이다.

#취득시효#부동산 점유#소유권 변동#등기